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7
어제:
778
전체:
776,919

우리말 조카

2015.04.21 21:31

이규 조회 수:2344


본뜻:형제의 아들딸을 일컫는 호칭인 조카라는 말의 어원은 중국의 개자추로부터 시작된다

개자추는 진나라 문공이 숨어 지낼 때 그에게 허벅지 살을 베어 먹이면서까지 그를 받들던

사람이었다 그러나 후에 왕위에 오르게 된 문공이 개자추를 잊고 그를 부르지 않자 이에

비관한 개자추는 산 속에 들어가 불을 지르고 나무 한 그루를 끌어안고 타 죽었다 그때서야

후회한 문공이 개자추가 끌어안고 죽은 나무를 베어 그것으로 나막신을 만들어 신고는 족하!

족하! 하고 애달프게 불렀다 문공 자신의 사람됨이 개자추의 발아래 있다는 뜻이었다

여기서 생겨난 족하라는 호칭은 그 후 전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천자 족하, 대왕 족하 등으로

임금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가 그 이후에는 임금의 발 아래에서 일을 보는 사관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 그러다가 더 후대에 내려오면서 같은 나이 또래에서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바뀐 뜻:지금은 형제자매가 낳은 아들딸들을 가리키는 친족 호칭으로 쓰인다


"보기글"

-조카딸의 남편을 조카사위라고 부르던가?

-형제가 많으니까 조카는 뭐 말할 것도 없이 많지 어쩌다 명절 같은 때 한꺼번에 모이기라도

하면 미처 모르고 지나치기도 한다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從容有常 셀라비 2014.01.17 2032
163 千里眼 셀라비 2014.01.20 2023
162 狼 藉 셀라비 2014.01.21 1844
161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898
160 遼東豕 셀라비 2014.01.23 1893
159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211
158 月旦評 셀라비 2014.01.27 1937
157 面 目 셀라비 2014.01.30 1960
156 累卵之危 LeeKyoo 2014.02.02 2425
155 逆 鱗 셀라비 2014.02.03 1966
154 雁 書 셀라비 2014.02.04 2342
153 脾 肉 셀라비 2014.02.10 1909
152 玉 石 LeeKyoo 2014.02.12 1973
151 小 心 셀라비 2014.02.13 1881
150 雙 喜 셀라비 2014.02.16 2013
149 斷 機 셀라비 2014.02.18 1936
148 家 臣 셀라비 2014.02.24 1824
147 過猶不及 셀라비 2014.02.25 1836
146 破 綻 셀라비 2014.02.28 2013
145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2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