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05
어제:
776
전체:
770,941

우리말 조카

2015.04.21 21:31

이규 조회 수:2291


본뜻:형제의 아들딸을 일컫는 호칭인 조카라는 말의 어원은 중국의 개자추로부터 시작된다

개자추는 진나라 문공이 숨어 지낼 때 그에게 허벅지 살을 베어 먹이면서까지 그를 받들던

사람이었다 그러나 후에 왕위에 오르게 된 문공이 개자추를 잊고 그를 부르지 않자 이에

비관한 개자추는 산 속에 들어가 불을 지르고 나무 한 그루를 끌어안고 타 죽었다 그때서야

후회한 문공이 개자추가 끌어안고 죽은 나무를 베어 그것으로 나막신을 만들어 신고는 족하!

족하! 하고 애달프게 불렀다 문공 자신의 사람됨이 개자추의 발아래 있다는 뜻이었다

여기서 생겨난 족하라는 호칭은 그 후 전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천자 족하, 대왕 족하 등으로

임금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가 그 이후에는 임금의 발 아래에서 일을 보는 사관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 그러다가 더 후대에 내려오면서 같은 나이 또래에서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바뀐 뜻:지금은 형제자매가 낳은 아들딸들을 가리키는 친족 호칭으로 쓰인다


"보기글"

-조카딸의 남편을 조카사위라고 부르던가?

-형제가 많으니까 조카는 뭐 말할 것도 없이 많지 어쩌다 명절 같은 때 한꺼번에 모이기라도

하면 미처 모르고 지나치기도 한다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605
103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604
102 跛行 이규 2013.03.18 1601
101 民心 이규 2012.12.09 1601
100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99
99 討 伐 이규 2013.03.17 1599
98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599
97 颱 風 이규 2013.07.12 1597
96 景福 셀라비 2012.10.31 1595
95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90
94 省墓 이규 2012.11.01 1584
93 似而非 이규 2013.03.21 1583
92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80
91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76
90 兩立 이규 2012.12.13 1575
89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73
8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70
87 妥結 이규 2012.12.02 1566
86 封套 이규 2012.11.19 1566
85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