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06
어제:
788
전체:
776,090

匹夫之勇

2013.05.11 20:19

이규 조회 수:1599

匹짝필
夫지아비부
之갈지
勇날랠용


 힘으로만 일을 처리하려는 천박한 용기

 

  秦이 망하고 項羽와 劉邦이 天下를 다툰 結果 劉邦이 이겨 漢나라를 세운다.  項羽의 敗因은 用兵術에 있었다.  너무 自身의 힘을 過信한 나머지 남의 意見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天子가 된 劉邦은 洛陽의 宮에서 대신들을 모아 놓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天下를 차지할 수 있었던 까닭은 知人과 用人에 뛰어났기 때문이다.  作戰에는 張子房(張良), 補給에는 蕭何, 戰鬪에는 韓信이라는 傑出한 人物이 셋이나 있다.  나는 그들을 모두 쓸 수 있었지만 項羽는 단 하나의 傑出한 범증(范增) 조차 쓰지 못했다.”
  그러자 韓信이 劉邦에게 項羽의 爲人에 대해 말했다.  “그는 怒氣를 띠고 號令을 하면 天命이나 氣絶할 정도지만 用人에는 서툴러 어진 將軍에게 믿고 말하지를 못합니다.  이것은 匹夫之勇에 지나지 않습니다.  또 人情이 있어 兵士가 病에 걸리면 흐느껴 울거나 자기가 먹을 飮食까지도 나눠 주지만 막상 공을 세운 部下에게 벼슬을 내릴 때면 그것이 아까워 직인(職印)이 다 닳아 없어질 때까지 매만지는 사람입니다.  이것은 婦人之仁에 不過합니다.”
  匹夫는 한낱 보잘 것 없는 男子다.  따라서 匹夫之勇이라면 심모원려(深謀遠慮)없이 腕力으로만 일을 처리하려는 ‘淺薄한 勇氣’를 뜻한다.  물론 禁物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2026
183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2026
182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2027
181 非 理 이규 2013.09.26 2029
180 鴛 鴦 이규 2013.12.01 2031
179 富 貴 셀라비 2014.06.16 2031
178 動 亂 이규 2013.09.16 2034
177 會 計 이규 2013.08.05 2042
176 完璧 셀라비 2014.03.12 2042
175 蛇 足 셀라비 2014.10.24 2044
174 問 津 이규 2013.10.25 2045
173 天安門 이규 2013.09.22 2046
172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2046
171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2053
170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2056
169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2060
168 奇蹟 이규 2012.12.06 2061
167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2061
166 箴 言 이규 2013.10.19 2062
165 效 嚬 셀라비 2013.10.24 2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