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40
어제:
778
전체:
776,902

骨肉相爭

2013.05.22 20:17

이규 조회 수:1410


骨뼈골
肉고기육
相서로상
爭다툴쟁


 부모, 형제간의 싸움


 조조(曹操)는 훌륭한 武將이자 보기 드문 文學愛好家였다. 東漢 末 實勢가 되어 全權을 휘두르자 그의 門下에는 詩人이 구름처럼 몰려 들었다고 한다. 그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들 조비(曹丕)는 後에 漢을 무너뜨리고 魏를 세워 三國時代를 열게 된다. 그도 아버지처럼 文學的인 才能이 뛰어나 中國 最初로 文學批評을 試圖했는가 하면 最初로 7諺詩를 지었다.
둘째 아들 조식(曹植)도 文學과 武藝에서는 형 못지 않았다. 曹操는 그런 曹植이 더 맘에 들었던지 늘 그를 偏愛했다. 曹丕의 눈에는 동생이 눈엣가시처럼 보일 수밖에.
 後에 曹操가 죽고 曹丕가 魏나라를 세우니 이가 文帝다. 하루는 曹植을 해칠생각으로 말했다. 『내가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에 시 한수를 지어라. 그렇지 않으면 엄벌을 내리겠다. 』 曹植은 骨肉相爭이 안타까웠다. 하지만 그의 文學的才能은 이 때에도 有感없이 發揮되었다. 그는 卽席에서 詩를 지었다.
      煮豆燃豆箕(자두연두기 ― 콩을 삶은 데에 콩깍지를 태우니)
      豆在釜中泣(두재부중읍 ― 콩은 가마솥에서 울고 있네)
      本是同根生(본시동근생 ― 본디 같은 뿌리에서 나왔거늘)
      相煎何太急(상전하태급 ― 왜 이다지도 다급하게 삶아대는고?)
 유명한 칠보시(七步詩)다. 마침내 文帝가 자신의 잘못을 뉘우쳤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行 脚 이규 2013.06.19 1732
303 周 年 이규 2013.06.20 1575
302 侍 墓 이규 2013.06.21 1695
301 鳳 凰 이규 2013.06.22 1803
300 陳 情 이규 2013.06.23 1758
299 前 轍 이규 2013.06.24 1689
298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800
297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754
296 釋迦牟尼 이규 2013.06.27 1954
295 讀 書 이규 2013.06.30 1827
294 傾 聽 이규 2013.07.03 1693
293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2100
292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2097
291 文 字 이규 2013.07.06 1574
290 告由文 이규 2013.07.08 1544
289 坐 礁 이규 2013.07.09 1967
288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2036
287 梅 雨 이규 2013.07.11 1921
286 颱 風 이규 2013.07.12 1657
285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