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1
어제:
795
전체:
775,367

骨肉相爭

2013.05.22 20:17

이규 조회 수:1397


骨뼈골
肉고기육
相서로상
爭다툴쟁


 부모, 형제간의 싸움


 조조(曹操)는 훌륭한 武將이자 보기 드문 文學愛好家였다. 東漢 末 實勢가 되어 全權을 휘두르자 그의 門下에는 詩人이 구름처럼 몰려 들었다고 한다. 그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들 조비(曹丕)는 後에 漢을 무너뜨리고 魏를 세워 三國時代를 열게 된다. 그도 아버지처럼 文學的인 才能이 뛰어나 中國 最初로 文學批評을 試圖했는가 하면 最初로 7諺詩를 지었다.
둘째 아들 조식(曹植)도 文學과 武藝에서는 형 못지 않았다. 曹操는 그런 曹植이 더 맘에 들었던지 늘 그를 偏愛했다. 曹丕의 눈에는 동생이 눈엣가시처럼 보일 수밖에.
 後에 曹操가 죽고 曹丕가 魏나라를 세우니 이가 文帝다. 하루는 曹植을 해칠생각으로 말했다. 『내가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에 시 한수를 지어라. 그렇지 않으면 엄벌을 내리겠다. 』 曹植은 骨肉相爭이 안타까웠다. 하지만 그의 文學的才能은 이 때에도 有感없이 發揮되었다. 그는 卽席에서 詩를 지었다.
      煮豆燃豆箕(자두연두기 ― 콩을 삶은 데에 콩깍지를 태우니)
      豆在釜中泣(두재부중읍 ― 콩은 가마솥에서 울고 있네)
      本是同根生(본시동근생 ― 본디 같은 뿌리에서 나왔거늘)
      相煎何太急(상전하태급 ― 왜 이다지도 다급하게 삶아대는고?)
 유명한 칠보시(七步詩)다. 마침내 文帝가 자신의 잘못을 뉘우쳤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148
123 標 榜 이규 2013.08.10 2148
122 道 路 이규 2013.08.17 2149
121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155
120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164
119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165
118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176
117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2181
116 歸 順 이규 2013.07.23 2183
115 執牛耳 이규 2013.11.15 2185
114 賞 春 이규 2013.08.15 2188
113 사리 셀라비 2015.04.18 2190
112 杜鵑 이규 2013.03.20 2191
111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193
110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2196
109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198
108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199
107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2202
106 發祥地 이규 2013.10.20 2202
105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