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02
어제:
800
전체:
774,503

西 方

2013.05.23 21:30

이규 조회 수:1645

西서쪽서
方모방


 동서남북의 총칭


 東은 해(日)가 떠서 나무. 木)사이에 걸쳐 있는 模襲이다. 日出은 旺盛한 活動을 象徵한다. 그래서 東은 季節로는 봄,五行에서는 나무(木)에 해당된다. 옛날 太子의 거처는 동쪽에 위치했다. 그래서 太子를 東宮이라고도 한다.
  西는 새(乙)가 집. 巢)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본디 뜻은 ‘서식하다’였는데 後에 ‘方向’을 뜻하는 글자로 轉用되자 棲息處인 木(나무)을 덧붙여 栖(棲)자를 만들었다. 서쪽 해는 머지않아 지게 될 운명이다. 그래서 西는 결실의 뜻을가지고 있다. 季節로는 가을,五行으로는 쇠(金)에 해당된다.
 南은 해가 가장 많이 비치는 方向이다. 사실 南자의 바깥 부분은 木자다. ‘향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나무가 해를 향해 있는 방향이 남쪽인 것이다. 남쪽은 萬物의 成長과 生肉을 象徵한다. 따라서 季節로는 여름,五行으로는 열렬한 불(火)에 해당된다.
 北은 두개의 ‘匕(비)’가 서로 등을 돌리고 있는 形狀이다. 그래서 본디 뜻은‘등을 돌리다’였는데 後에 北이 ‘북쪽’이라는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배(背)자를새로 만들어 ‘등을 돌리다’는 뜻을 지니도록 했다. 北은 또 天子를 象徵하는 方位다. 그래서 宮闕을 보면 大部分 북쪽에 位置해 있다. 北은 宮闕이 등지고 있는(北) 방향이라는 뜻이다.  북쪽은 萬物을 衰落으로 몰고 간다. 그래서 北은 季節로는 겨울,五行으로는 차디찬 물(水)에 해당된다.
 이처럼 한자는 깊은 뜻을 가지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846
123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737
122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81
121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79
120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708
119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607
118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612
117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685
116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636
115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847
114 似而非 이규 2013.03.21 1615
113 杜鵑 이규 2013.03.20 2189
11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371
111 跛行 이규 2013.03.18 1635
110 討 伐 이규 2013.03.17 1627
109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899
108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634
107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513
106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91
105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