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592
어제:
795
전체:
775,188

淘 汰

2013.05.28 19:52

이규 조회 수:1735

淘쌀일도
汰씻길태


 물로써 불순물이나 이물질을 가려냄

 


 匠人이 언덕(丘)에서 甕器를 감싸고(包) 있는 것이 도(陶)이다).즉 도공(陶工)이 가마에서 도기를 만들고 있는 形狀이다.언덕 대신 물이 있는 것이 淘다.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世上이 便利해져 主婦들의 일손이 한결 가벼워졌다.밥 지을 때 쌀을 일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淸潔米까지 나와 씻을 必要도 없게 되었다.그저 전기밥솥에 앉히기만 하면 된다.그러나 옛날에는 쌀에 돌이 많았으므로 반드시 우물이나 냇가에 나가 쌀을 일어야 했다.淘는 쌀을 이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물로 이물질을 골라내는 것」을 뜻한다.
  汰는 팔을 벌린 사람(大)이 물가에서 돌과 같은 異物質을 골라내고 있는 形狀이 아닌가.淘보다도 더 具體的인 模樣을 하고 있다.역시 「물을 이용해 不純物을 가려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砂金을 採取하는 模襲을 聯想하면 된다.
  이처럼 도태(淘汰) 두 자는 모두 「가려낸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不純物이나 異物質의 立場에서 보면 「도태되는」격이 된다. 지금처럼 競爭이 熾烈한 社會에서 淘汰되지 않으려면 不純物이나 異物質과 같은 存在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심히 勞力하는 수밖에 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486
383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682
382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693
381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99
380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58
379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96
378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518
377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636
376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900
375 討 伐 이규 2013.03.17 1628
374 跛行 이규 2013.03.18 1639
373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372
372 杜鵑 이규 2013.03.20 2189
371 似而非 이규 2013.03.21 1617
370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849
369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636
368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688
367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613
366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608
365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