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54
어제:
781
전체:
777,597

正 鵠

2013.06.02 17:01

이규 조회 수:1762

正바를정
鵠과녁곡


 과녁의 한가운데. 핵심

 


 활쏘기에서 勝負를 가리기 위해서는 과녁이 있어야 한다.과녁 전체를 적(的),正四角形의 과녁 바탕을 후(侯)라고 하는데, 천으로 만들면 포후(布侯),가죽으로 만들면 피후(皮侯)라고 불렀다.侯에는 同心圓 몇개와 한가운데 검은점이 있는데 布侯면 ‘정(正)’,皮侯면 ‘곡(鵠)’이라고 했다.곧 만점짜리가 ‘정곡(正鵠)’ 셈이다.따라서 ‘正鵠을 찔렀다’는 말은 正確하게 과녁의 中心을 맞혔다는 뜻이다.‘적중(的中)’ 이라고도 한다.
 正鵠이 과녁을 뜻한 데에는 까닭이 있다.正이 옛날에는 ‘솔개’의 이름이기도 했다.작은데다 敏捷(민첩)하며 높이 날므로 활로 맞히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鵠은 ‘고니’다.이놈 역시 높이 날므로 맞히기가 매우 어렵다.따라서 과녁중 가장 맞히기 힘든 부분을 ‘正鵠’이라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混同이 있는 것같아 몇자 添附한다.鵠이 ‘과녁’을 지칭할 때는 ‘곡’이지만 ‘새’를뜻할 때는 ‘혹’으로 發音해야 한다.고니의 優雅한 姿態와 높이 나는 氣像은 사나이 大丈夫의 遠大한 抱負를 象徵한다.
 대체로 ‘기러기’를 뜻하는 ‘홍(鴻)’과 함께 홍혹(鴻鵠)이라 하며, 그 反對를 연작(燕雀․제비와 참새 즉 小人輩)이라 한다. 흔히 ‘홍곡’이라 하는데 주의를 요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760
343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762
34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762
341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763
» 正 鵠 이규 2013.06.02 1762
339 陳 情 이규 2013.06.23 1763
338 世代 이규 2012.11.13 1769
337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769
336 誘 致 이규 2013.06.17 1778
335 膺懲 이규 2013.02.18 1780
334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80
333 焦眉 이규 2012.12.05 1783
332 聖域 이규 2012.11.16 1794
331 師表 이규 2013.02.04 1794
330 獅子喉 이규 2013.02.12 1799
329 管轄 이규 2012.12.20 1800
328 不惑 이규 2012.12.17 1803
327 復舊 이규 2012.11.05 1805
326 破廉恥 이규 2012.11.24 1806
325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