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08
어제:
776
전체:
770,944

正 鵠

2013.06.02 17:01

이규 조회 수:1708

正바를정
鵠과녁곡


 과녁의 한가운데. 핵심

 


 활쏘기에서 勝負를 가리기 위해서는 과녁이 있어야 한다.과녁 전체를 적(的),正四角形의 과녁 바탕을 후(侯)라고 하는데, 천으로 만들면 포후(布侯),가죽으로 만들면 피후(皮侯)라고 불렀다.侯에는 同心圓 몇개와 한가운데 검은점이 있는데 布侯면 ‘정(正)’,皮侯면 ‘곡(鵠)’이라고 했다.곧 만점짜리가 ‘정곡(正鵠)’ 셈이다.따라서 ‘正鵠을 찔렀다’는 말은 正確하게 과녁의 中心을 맞혔다는 뜻이다.‘적중(的中)’ 이라고도 한다.
 正鵠이 과녁을 뜻한 데에는 까닭이 있다.正이 옛날에는 ‘솔개’의 이름이기도 했다.작은데다 敏捷(민첩)하며 높이 날므로 활로 맞히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鵠은 ‘고니’다.이놈 역시 높이 날므로 맞히기가 매우 어렵다.따라서 과녁중 가장 맞히기 힘든 부분을 ‘正鵠’이라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混同이 있는 것같아 몇자 添附한다.鵠이 ‘과녁’을 지칭할 때는 ‘곡’이지만 ‘새’를뜻할 때는 ‘혹’으로 發音해야 한다.고니의 優雅한 姿態와 높이 나는 氣像은 사나이 大丈夫의 遠大한 抱負를 象徵한다.
 대체로 ‘기러기’를 뜻하는 ‘홍(鴻)’과 함께 홍혹(鴻鵠)이라 하며, 그 反對를 연작(燕雀․제비와 참새 즉 小人輩)이라 한다. 흔히 ‘홍곡’이라 하는데 주의를 요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誘 致 이규 2013.06.17 1721
323 官 吏 셀라비 2014.03.23 1724
322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26
321 膺懲 이규 2013.02.18 1727
3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27
319 不惑 이규 2012.12.17 1730
318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32
317 獅子喉 이규 2013.02.12 1735
316 復舊 이규 2012.11.05 1736
315 破廉恥 이규 2012.11.24 1736
314 師表 이규 2013.02.04 1740
313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740
312 雲 雨 셀라비 2013.11.02 1741
311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42
310 公 約 셀라비 2014.05.27 1745
309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46
308 文化 이규 2012.12.03 1747
307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51
306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53
305 凱 旋 yikyoo 2014.06.11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