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21
어제:
800
전체:
774,522

正 鵠

2013.06.02 17:01

이규 조회 수:1741

正바를정
鵠과녁곡


 과녁의 한가운데. 핵심

 


 활쏘기에서 勝負를 가리기 위해서는 과녁이 있어야 한다.과녁 전체를 적(的),正四角形의 과녁 바탕을 후(侯)라고 하는데, 천으로 만들면 포후(布侯),가죽으로 만들면 피후(皮侯)라고 불렀다.侯에는 同心圓 몇개와 한가운데 검은점이 있는데 布侯면 ‘정(正)’,皮侯면 ‘곡(鵠)’이라고 했다.곧 만점짜리가 ‘정곡(正鵠)’ 셈이다.따라서 ‘正鵠을 찔렀다’는 말은 正確하게 과녁의 中心을 맞혔다는 뜻이다.‘적중(的中)’ 이라고도 한다.
 正鵠이 과녁을 뜻한 데에는 까닭이 있다.正이 옛날에는 ‘솔개’의 이름이기도 했다.작은데다 敏捷(민첩)하며 높이 날므로 활로 맞히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鵠은 ‘고니’다.이놈 역시 높이 날므로 맞히기가 매우 어렵다.따라서 과녁중 가장 맞히기 힘든 부분을 ‘正鵠’이라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混同이 있는 것같아 몇자 添附한다.鵠이 ‘과녁’을 지칭할 때는 ‘곡’이지만 ‘새’를뜻할 때는 ‘혹’으로 發音해야 한다.고니의 優雅한 姿態와 높이 나는 氣像은 사나이 大丈夫의 遠大한 抱負를 象徵한다.
 대체로 ‘기러기’를 뜻하는 ‘홍(鴻)’과 함께 홍혹(鴻鵠)이라 하며, 그 反對를 연작(燕雀․제비와 참새 즉 小人輩)이라 한다. 흔히 ‘홍곡’이라 하는데 주의를 요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復舊 이규 2012.11.05 1780
323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81
322 文化 이규 2012.12.03 1782
321 鳳 凰 이규 2013.06.22 1782
320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85
319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787
318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790
317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792
316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94
315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795
314 觀 察 셀라비 2014.03.28 1796
313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96
312 杞 憂 셀라비 2014.06.05 1797
311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797
310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800
309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801
308 官 吏 셀라비 2014.03.23 1802
307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804
306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804
305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