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32
어제:
899
전체:
772,518

國 家

2013.06.10 21:48

이규 조회 수:1585

國나라국
家집가


 농경시대 땅의 경계선

 

  國은 一定한 구역(口)의 땅(一․지평선)에 사람(口․입)이 살고 있고, 그들을 保護하기 위해 武器(戈․창․군대)를 갖추고 있는 模襲이다.재미있는 것은 甲骨文에는 창과 사람뿐이다.그저 猛獸로부터 사람을 保護하면 足했던 것이다.後에 定着生活로 農耕地가 必要했다.하지만 淳朴했던 데다 肥沃한 땅이 널려 있었으므로 境界線도 必要없었는데 이때의 國자가 혹(或)이다.後에「혹시」의 뜻으로 전용(轉用)되었으므로 땅을 뜻하는 「토(土)」자를 덧붙여 역(域)자를 만들었다.
 나중에 오면 慾心이 생겨 남의 땅을 넘보기 시작했다.따라서 境界線이 必要하기는 했지만 分明하지 않아도 됐다.그래서 四角形이 아닌 圓形에 가까웠다.
그러나 다시 그 뒤에 오면 人心이 매우 사나워져 國境線도 分明하게 그을 必要가 있었다.그것이 현재의 國자로 완벽한 正四角形(口)模襲을 하고 있다.이때부터는 단 한 뼘의 땅도 讓步하지 않게 되었다.
  人類는 이제 農耕定着生活을 하면서 家畜도 기르게 되었다.家는 집밑에 돼지(豕)가 있는 模襲이다.먼 옛날에는 사람이 돼지와 함께 한 집에서 살았음을 의미한다.지금도 東南亞나 아마존강의 오지(奧地)에 가보면 家畜과 함께 사는 原住民들을 볼 수 있다.또 한가지 알 수 있는 것은 家畜중에 돼지를 第一 먼저 길렀다는 사실이다.이처럼 漢字를 익히면 옛 人類의 삶까지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 雲 集 이규 2013.08.09 2126
263 標 榜 이규 2013.08.10 2134
262 法 曹 이규 2013.08.13 1963
261 朝 野 이규 2013.08.14 1985
260 賞 春 이규 2013.08.15 2178
259 舊 臘 이규 2013.08.16 2335
258 道 路 이규 2013.08.17 2137
257 瓦 解 이규 2013.08.18 2060
256 總 統 이규 2013.08.19 2324
255 火 箭 이규 2013.08.20 2005
254 裁 判 이규 2013.08.21 2557
253 氷上人 이규 2013.08.23 1985
252 改 閣 이규 2013.08.26 2228
251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249
250 監 獄 이규 2013.09.02 2581
249 中 國 이규 2013.09.03 2091
248 政經癒着 이규 2013.09.05 2300
247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2096
246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2117
245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