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5
어제:
778
전체:
776,917

身言書判

2013.06.12 22:04

이규 조회 수:1853

身몸신
言말씀언
書글서
判쪼갤판

 

 용모, 언변, 글씨, 판단력 등의 인재 등용 기준

 


  한동안 一部 企業이 女職員을 採用하면서 용모(容貌)를 重要 잣대로 했다하여 女性團體에서 抗議하고 나선 적이 있었다.外貌를 重視한 結果다.하지만 그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며,우리만 그랬던 것도 아니다.1,200여년전 唐나라 때부터 人才選拔의 重要 尺度로 삼았으니 신언서판(身言書判)이 그것이다.唐나라 때는 과거(科擧)에 及第해도 바로 登用되지 않았다.任用되기 위해서는成績도 成績이려니와 身言書判 네가지를 두루 갖추어야 했다.
 身은 外貌다.身體 健壯하고 威風堂堂해야 했다.言은 언변(言辯)이다.靑山流水같은 말솜씨가 있어야 했다.書는 글씨다.글씨는 곧 그 사람의 人格이라고 여겼다.끝으로 判은 判斷力이다.事物의 是非를 가릴 수 있는 判斷力과 論理가서 있어야 했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身言書判에 多少 缺點이 있다고 해서 公務員 任用상 缺格事由는 되지 않는다.오직 試驗成績만으로 가리기 때문이다. 어찌보면 客觀的이고 合理的인 것 같기도 하지만 品德과 人性을 考慮하지 않는 任用은 問題가 있지 않을까.요즘 一部 機關에서 公務員의 非理가 끊이지 않고 있다.이렇게 볼 때 고금(古今)의 公務員 任用方法에는 各其 長短點이 있는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雲 集 이규 2013.08.09 2166
123 道 路 이규 2013.08.17 2167
122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167
121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168
120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172
119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175
118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189
117 執牛耳 이규 2013.11.15 2195
116 賞 春 이규 2013.08.15 2196
115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2202
114 杜鵑 이규 2013.03.20 2203
113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2205
112 사리 셀라비 2015.04.18 2205
111 歸 順 이규 2013.07.23 2206
110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210
109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213
108 發祥地 이규 2013.10.20 2214
107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216
106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218
105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