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99
어제:
776
전체:
770,935

한자 舊 臘

2013.08.16 21:42

이규 조회 수:2262

舊 臘

남향제

 

 

지난해 12월 의미

 

 

甲骨文을 보면 (새의 귀깃耳羽)(새집)結合이다. 곧 귀깃달린 새가 둥지()위에 앉아 있는 形狀으로 부엉이를 뜻했다. 따라서 의 본디 뜻은 부엉이. 옛날을 뜻하는 말과 發音이 같아 그만 신구(新舊)로 엉뚱하게 轉用되고 말았다. 이렇게 이 같아 빌려쓰는 것을 가차(假借)라고 한다. 이제 다시 부엉이를 뜻하는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야 했는데 알다시피 이놈은 夜行性이라 낮에는 빈둥빈둥 놀기만 하므로 새를 뜻하는 (놀 휴)자를 덧붙여 지금의 휴(부엉이 휴)자를 만들었다. 舊殼(구각옛 틀)舊式(구식)舊態依然(구태의연 親舊(친구)가 있다.

은 본디 ()(사냥할 렵)結合이었는데 너무 뚱뚱했으므로 살짝 다이어트해 지금의 자가 되었다. 따라서 의 본디 뜻은 사냥해온 고기. 옛날 中國에서는 매년 12월 초 8일이 되면 마을 共同으로 사냥해 祭祀를 지내는 납제(臘祭)風習이 있었다. 그 날을 臘日이라고 했다. 그런데처음에는 祖上에게만 祭祀를 올리다 차츰 그 대상이 擴大되는 바람에 臘日 하루로는 不足해 자꾸 늘리다 보니 12월 한달이 온통 臘祭의 달이 되고 말았다. 이때부터 陰曆 12을 뜻하게 되어 臘祭에 사용했던 북을 납고(臘鼓)고기를 납육(臘肉)12월에 피는 梅花를 납매(臘梅)年末의 모임을 납회(臘會)라고 부르게 되었다. 舊臘지난 12이라는 뜻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跛行 이규 2013.03.18 1598
383 民心 이규 2012.12.09 1599
382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601
381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602
380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605
379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608
378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608
377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611
376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611
375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613
374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614
373 西 方 이규 2013.05.23 1615
372 戰 國 이규 2013.06.09 1618
371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619
370 頭 角 이규 2013.06.07 1621
369 人質 이규 2012.12.27 1622
368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25
367 名分 이규 2013.02.11 1628
366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632
365 菽麥 이규 2013.02.02 1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