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7
어제:
795
전체:
775,363

陳 情

2013.06.23 13:42

이규 조회 수:1744


陳베풀진
情실정정


 속마음을 알림

 


  陳은 언덕에 나무(木)를 펴 놓은(申)形象으로 나무를 말리기 위해서다.따라서 본 뜻은 「펴다」가 되겠다. 진술(陳述)․진열(陳列)․진언(陳言)․개진(開陳)이 있다. 情은 「푸른(靑) 마음(․心)」인데 옛사람들은 멀리서도 가장 잘 「드러나는」 색을 청색(靑色)으로 보았다. 그래서 「마음에서 밖으로 드러나는 것」이 情 또는 감정(感情)이다.곧 陳情은 「감정을 밖으로 펴내는 것」이다.억울하거나 답답한 心情을 남에게 알리는 것인데 글로 쓴 것이 진정서(陳情書)다. 
  이밀(李密)은 촉한(蜀漢)후주(後主,곧 劉備의 아들 劉禪)때 高官을 지낸사람이다.生後 6개월만에 아버지가 죽고 어머니마저 네살 때 개가(改嫁)하는바람에 할머니 밑에서 자랐다. 後에 蜀漢이 亡하고 晋나라가 섰다.武帝가 그의 孝心에 感動해 수차 高官을 제의했지만 아흔이 넘은 할머니 때문에 拒絶할 수밖에 없었다. 內幕을 모르고 있던 武帝는 그를 疑心하기 시작했다. 곧 李密의 불사이군(不事二君)에 문제가 있다고 여기곤 怒發大發했다. 李密은 자신의안타까운 처지를 적은 글을 올렸다.유명한 陳情表가이다.본디 「表」는 臣下가天子에게 올리는 글을 뜻한다.諸葛亮의 出師表가 「충성」을 뜻한다면, 李密의 陳情表는 「효심」의 極致라 하겠다.그의 孝心에 感激한 武帝는 많은 奴婢와 財物을 보내 할머니를 잘 奉養하도록 했다.天子에게 陳情書를 올린 케이스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野壇法席 이규 2012.11.22 1253
463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255
462 出師表 이규 2013.01.18 1257
461 電擊 이규 2012.12.13 1258
460 葡萄 이규 2013.01.09 1266
459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270
458 變姓名 이규 2013.01.22 1276
457 覇權 이규 2012.12.08 1281
456 汚染 이규 2013.01.24 1318
455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329
454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331
453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334
45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373
451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381
450 露 骨 이규 2013.05.29 1381
449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388
448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394
447 犧牲 이규 2012.12.18 1400
446 飜覆 이규 2013.01.29 1410
445 燕雀鴻鵠 이규 2012.12.01 1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