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27
어제:
778
전체:
776,889

烏有先生

2013.06.26 21:43

이규 조회 수:1751


烏까마귀오
有있을유
先먼저선
生날생

 

 

 상식적으로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사람

 


 까마귀는 온통 검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다들『왜 그럴까』를 連發했다. 결국 글자도 鳥(새 조)에서 점(`․눈을 뜻함)이 하나 빠진 「烏」자로 만들었다. 곧 烏의 본디 뜻은 「까마귀」지만(烏飛梨落,烏合之卒,長頸烏喙등)「검다」는 뜻도 있으며(烏骨鷄),「왜」「어찌」라는 强한 疑問의 뜻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烏有」는 「어찌 있을 수 있으랴」가 되며, 烏有先生은「常識的으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사람」이라는 뜻이 된다.
 사마상여(司馬相如)는 한무제(漢武帝)때 살았던 희대(稀代)의 풍류문인(風流文人)이다. 그가 武帝에게 바친 상림부(上林賦)는 사냥에 빠진 武帝를 은근히 풍간(諷諫)하기 위해 지은 것이다. 초(楚)의 使臣으로 제(齊)나라에 간 자허(子虛)가 제왕(齊王)과 사냥하면서 서로 自國의 사냥터가 더 크고 豪華롭다고 誇張하자 烏有先生이 子虛를 꾸짖고,또 이를 지켜본 무시공(無是公)이라는 者가 나서서 양비론(兩非論)을 편다는 內容이다. 百姓의 苦痛은 생각하지 않고 사냥에만 빠져있는 두 나라의 國王은 옳지 않다는 뜻에서다. 재미있는 것은 登場人物들의 이름이다. 子虛나 烏有先生,그리고 無是公은 모두「이런 사람은 없다」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前職 大統領의 秘資金 때문에 큰 波長이 일고 있다. 한동안「우째 이런일이!」가 유행하더니, 이제는「우째 이런 사람이!」가 流行이다. 그럴듯한 地位와 體面에도 不具하고 常識的으로는 도저히 理解하기 힘든 行爲를 일삼는 者가 많은 것 같다. 모두 現代版 「烏有先生」들이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663
103 白 眉 셀라비 2014.09.26 1662
102 頭 角 이규 2013.06.07 1662
101 戰 國 이규 2013.06.09 1661
100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660
99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660
98 西 方 이규 2013.05.23 1660
97 古 稀 셀라비 2014.09.22 1658
96 景福 셀라비 2012.10.31 1655
95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654
94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652
93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650
92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650
91 民心 이규 2012.12.09 1649
90 颱 風 이규 2013.07.12 1648
89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647
88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646
87 跛行 이규 2013.03.18 1646
86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644
85 討 伐 이규 2013.03.17 1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