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02
어제:
776
전체:
770,938

한자 嘗 糞

2013.07.19 22:08

이규 조회 수:1893


嘗맛볼상
糞똥분


 변을 맛봄 … 지극한 효성 의미

 

 옛날에는 효(孝)를 오륜(五倫)의 으뜸이자 백행(百行)의 根本으로 여겼던 만큼 이에 관한 설화(說話)도 많다. 자기부모의 藥으로 삼기 위해 죽였는데 알고 보니 동삼(童蔘)이었다는 이야기,또 심청의 이야기 등은 孝의 극치(極致)라 할 수 있다. 中國에도 비슷한 이야기는 많다. 남북조(南北朝)때 유검루(庾黔縷)는 이름난 孝子였다. 그의 孝行에 感動해 平素 出沒하던 호랑이가 自炊를 감추기도 했다.
 그가 잔릉(棧陵)의 현령(縣令)으로 있을 때 아버지의 病患 소식을 듣고 즉시 官職을 파하고 돌아갔다.『병세(病勢)를 알기 위해서는 변의 맛을 봐야 하오.』 의원(醫員)의 말에 검루는 즉시 손가락으로 변을 찍어 맛보았다. 마침 아버지는 痢疾에 걸려 심한 泄瀉(설사)를 하고 있던 중이었다. 달고 매끄러운 것이 여간 심상치 않았다. 이때부터 그는 매일 밤 북진(北辰․북극성)에 빌었다.그의 孝心에 하늘도 感動했는지 소리가 들려왔다.『수명은 다했다.다만 너의 孝誠을 봐서 이달말까지만 延長해 주겠다.』
 과연 아버지는 그달 그믐에 죽었으며 검루는 삼년간 「시묘(侍墓)」했다. 이때부터 상분(嘗糞)은 至極한 孝誠을 뜻하게 되었다.「嘗糞」은 또한 「아첨의 극치」를 뜻하기도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前 轍 이규 2013.06.24 1637
363 關 鍵 이규 2013.05.14 1638
362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641
361 所聞 이규 2013.02.01 1642
360 侍 墓 이규 2013.06.21 1642
359 傾 聽 이규 2013.07.03 1642
358 慢慢的 이규 2012.11.15 1645
357 矛 盾 셀라비 2014.08.19 1645
356 籌備 이규 2012.12.28 1647
355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648
354 瓦斯 이규 2013.02.12 1650
353 刑罰 이규 2013.02.01 1653
352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656
351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658
350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663
349 長蛇陣 이규 2013.02.03 1664
348 城郭 이규 2012.11.06 1665
347 秋霜 이규 2013.02.04 1668
346 杞 憂 셀라비 2014.06.05 1672
345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