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29
어제:
795
전체:
775,225

한자 歸 順

2013.07.23 20:01

이규 조회 수:2180

歸돌아갈귀
順순할순


 투항하여 복종함

 


 歸의 추(빗자루 추)는 빗자루를 쥔 「부인」,止는 안식처인 시댁(媤宅)을 의미하므로 歸는 여성의 「결혼」을 뜻한다. 親庭에서 媤宅으로 돌아가는 것이므로 後에 歸는 「돌아가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順은 川과 頁(머리 혈)의 結合이다. 頁이 사람의 머리(얼굴 포함)를 뜻한다(頂․項․顔․額․領등). 어쩐지 首(머리 수)와 비슷하다. 곧 順은 머리를 냇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한다는 뜻으로 「순종 」을 意味한다. 순서(順序)․순응(順應)․온순(溫順)이 있다.
 따라서 歸順이라면 婦人이 시집살이를 잘 하는 것을 뜻한다고 할 수도 있지만 後에 발전된 뜻은 「적에게 투항해 복종하는 것 」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적개심(敵愾心)이나 拒逆하는 마음을 버려야 하므로 歸順의 전 단계는 기역(棄逆․저항심을 버림 )이다. 대체로 敵의 軍卒이나 將帥가 投降해와 服從하는 것을 意味한다. 單純한 投降과 다른 점은 純全히 자의(自意)에 의한 決定이라는 점과 敵愾心을 포기하고 順從을 택했다는 점이다. 歸順의 代表的인 경우로는 항우(項羽)를 버리고 유방(劉邦)에 게 갔던 한신(韓信)을 들 수 있다.
 탈북(脫北)亡命者와 歸順者가 계속 나오고 있다. 亡命이나 歸順의 共通點은 「불만」에 있다. 정말 北韓이 「흔들리고」있는 모양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4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247
203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953
202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122
201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2013
200 鼓 舞 이규 2013.11.01 1957
199 雲 雨 셀라비 2013.11.02 1832
198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936
197 物 色 이규 2013.11.05 1952
196 猖 獗 이규 2013.11.06 1950
195 痼 疾 이규 2013.11.07 1951
194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970
193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292
192 角 逐 셀라비 2013.11.14 1990
191 執牛耳 이규 2013.11.15 2182
190 貢 獻 이규 2013.11.16 2002
189 壓 卷 이규 2013.11.18 2063
188 問 鼎 이규 2013.11.23 2269
187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808
186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969
185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