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7
어제:
815
전체:
773,778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641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2198
103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2210
102 苦 杯 이규 2013.08.03 2211
101 文 獻 셀라비 2014.03.03 2215
100 誣 告 이규 2013.07.24 2216
99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227
98 改 閣 이규 2013.08.26 2230
97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238
96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241
95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242
94 人 倫 이규 2013.07.29 2245
93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251
92 千字文 이규 2013.10.12 2255
91 쫀쫀하다 셀라비 2015.05.04 2256
90 持 滿 이규 2013.11.28 2257
89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258
88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259
87 問 鼎 이규 2013.11.23 2261
86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266
85 快 擧 이규 2013.07.21 2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