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3
어제:
795
전체:
775,369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647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幾 何 이규 2013.09.24 2527
443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519
442 改 革 이규 2013.09.19 2518
441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503
440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492
439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475
438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471
437 鷄肋 셀라비 2014.12.17 2469
436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454
435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445
434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438
433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429
432 累卵之危 LeeKyoo 2014.02.02 2413
431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401
430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398
429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386
428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376
427 迎 入 [1] 이규 2013.06.18 2375
426 百 姓 이규 2013.10.06 2372
425 郊 外 이규 2013.07.28 2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