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1
어제:
778
전체:
776,933
‘저 산에 도전하고 싶다.’ 그래서 도전하고,
정상에 오르고, 만족을 느끼는 거다.
그 다음엔 또 다른 불일치를 찾아 간다.
결국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세상과 나의 불일치를 만들어내고,
그걸 극복하는 절차와 과정이 행복이다.
‘나의 주도’ ‘내가 원하는 방향’ ‘스스로 만든 불일치’가 중요하다.
창의적인 행복은 변화를 동반한다.
- 뇌과학자 김대식 카이스트 교수,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김교수는 주장합니다.
“우리가 ‘행복’이라고 말할 때 두 가지를 구분해야 한다.
하나는 만족감이다. 배부르고, 편하게 쉴 수 있고, 아픔도 없는 상태.
그러나 그건 만족이지, 행복이 아니다.
지금 삶이 만족스럽다 하더라도 스스로 불일치를 만들고,
그 격차를 줄이고, 또 더 높은 불일치를 만들어가는
지속적인 과정, 이것이 바람직한 행복, 창의적인 행복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7599
406 위대함도 초라함도 내 생각이 만드는 것이다. 이규 2013.10.08 2818
405 희망을 갖는 건 실망이라는 위험을 감수하는 일이다. 이규 2013.10.07 2900
404 더 좋은 것을 원한다면 갖고 있는 것을 버려라. 이규 2013.10.04 2898
403 바람직한 두려움의 대상 이규 2013.10.02 2871
402 불가능한 것을 꿈꾸는 것이 희망이다. 이규 2013.10.01 2822
401 궁수는 화살이 빗나가면 자기를 돌아본다. 이규 2013.09.30 2732
400 공기라는 장애물이 없으면 독수리는 날지 못한다. 이규 2013.09.27 2862
399 남들이 비웃는 아이디어라면 성공가능성이 크다는 신호다. 이규 2013.09.26 2800
398 육체는 속임수가 불가능하다. 훈련이 답이다. 이규 2013.09.25 2689
397 자랑하지 말라. 이규 2013.09.24 3301
396 이왕 할 거면 1등을 해라. [4] 이규 2013.09.23 3258
395 멀리 가려거든 함께 가라. 이규 2013.09.17 3135
394 나눠야 더욱 넘치게 행복해진다. 이규 2013.09.16 3154
393 문제가 생기는 것은 나쁜 일이 아니다. 이규 2013.09.13 3190
392 우리 뇌는 목표지향적이다. 이규 2013.09.12 3105
391 스티브 잡스와 미켈란젤로의 공통점 [4] 이규 2013.09.11 4030
390 창의적인 위대한 아이디어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이규 2013.09.10 4210
389 위대한 사람이라 믿어주면 그들은 그것을 증명해준다. [2] 이규 2013.09.09 3677
388 잘난 것을 드러내지 마라. [1] 이규 2013.09.06 3158
387 달인은 1만 시간, 천재가 되는 데는 2만 시간의 수련이 필요하다. 이규 2013.09.05 3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