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99
어제:
781
전체:
777,642

反哺之孝

2012.11.02 19:37

이규 조회 수:1463

反 되돌릴 반

哺 먹일 포

之 갈지

孝 효도 효

 

까마귀의 효 (지극한 효심)

 

한국이나 중국사람들은 까마귀를 흉조(凶鳥)로 여긴다. 특히 울음 소리는 죽음象徵하기도 한다.

즉 아침에 일면 아이가, 낮에 울면 젊은이가, 오후에 울면 늙은이가 죽을 徵兆며 한밤에 울면 殺人이 날 徵兆라고 여겼다.

또 까마귀는 시체를 즐겨 먹는 습성이 있다. 그래서 까마귀 밥이 되었다고 하면 그 자체로 죽음을 뜻하기도 한다.

지금도 인도와 티베트에서는 조장(鳥葬)盛行하고 있는데 사람이 죽으면 시체를 내다버려 까마귀에게 뜯어먹도록 하는데 그래야만 죽은이가 승천(昇天)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라 이시진(李時珍)[本草綱目]에 의하면 새끼가 어미를 먹여 살리는데는 까마귀만한 놈도 없다. 그래서 이름도 자오(慈烏인자한 까마귀)’라고 했다.

곧 까마귀의 되먹이는 習性에서 反哺라는 말이 나왔으며 이는 지극한 孝道를 의미한다. ‘反哺之孝가 그것이다. 그렇다면 까마귀는 효조(孝鳥)’이기도 한 셈이다.

 

연로한 어버이 /

   진수성찬도 대접 못해 드리네 /

   미물(微物)도 사람을 감동시키련만 /

   숲속의 까마귀 보면 눈물 흘리네

 

朝鮮朝 光海君때의 문신(文臣) 박장원(朴長遠)이 쓴 [反哺鳥]라는 시다.

까마귀를 보고 자신의 不孝反省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까마귀는 겉은 검어도 속은 흰새. 안팎이 온통 검은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821
423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693
422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705
421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2076
4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830
419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764
418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662
417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653
416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829
415 蛇 足 셀라비 2014.10.24 2087
414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894
413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202
412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677
411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627
410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926
409 白 眉 셀라비 2014.09.26 1673
408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602
407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2165
406 古 稀 셀라비 2014.09.22 1671
405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2084